2026년 기준중위소득이 역대 최대 인상되며 맞춤형 복지 수급 범위가 확대됐습니다. 가구별 100% 금액과 부처별 80개 복지사업을 정리했습니다.
2026년 기준중위소득 100% 금액
2026년도 기준중위소득은 역대 최대 인상률 6.51%를 기록하며, 복지 수급 범위가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가구 규모별 월 소득 기준(100%)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 수
2026년 기준중위소득 100%(월)
1인
2,564,238원
2인
4,199,292원
3인
5,359,036원
4인
6,494,738원
5인
7,556,719원
6인
8,555,952원
이 금액은 단순한 통계치가 아니라, 각종 정부 맞춤형 복지사업의 자격기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소득이 위 표의 100% 이하인 가구는 고용부 국민취업지원제도, 일부 주거·교육·문화 지원 등 다양한 복지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양한 복지혜택 기준에 충족되는 기준중위소득 50%, 60%, 120%, 150%, 180% 이하 금액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기준중위소득 100%와 맞춤형 복지
기준중위소득 100%와 맞춤형 복지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는 다수의 복지사업에서 중요한 지원 대상입니다. 사업별로는 소득기준이 30%~300%까지 다양하지만, 100% 이하 기준이 적용되는 대표 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용노동부 : 국민취업지원제도(유형2),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
국토교통부 : 행복주택 공급,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여성가족부 : 아이돌봄 서비스 일부, 위기청소년 특별지원
금융위원회 : 청년도약계좌 일부 유형
또한, 기준중위소득이 인상되면 자연스럽게 복지 수급 가능 가구 범위가 넓어집니다. 예를 들어, 4인 가구가 월 소득 640만 원 이하라면 국민취업지원제도와 일부 주거지원 사업에 새롭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맞춤형 복지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내 소득이 기준에 적합해야 하는데 그럼 내 소득은 어떻게 산정되는지는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기준중위소득 100%와 맞춤형 복지
부처별 80개 맞춤형 복지사업 전체 목록
2025년 기준, 14개 부처에서 운영하는 총 80개의 복지사업이 기준중위소득을 활용해 지원 대상을 결정합니다. 아래는 부처별 주요 사업 현황이며 각 복지 사업 선정 기준은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4개)
국민취업지원제도
산재 근로자 생활안정자금융자
근로자 생활안정자금 융자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
교육부 (8개)
(기초생활) 교육급여
한부모가족 자녀 교육비 지원
초중고 교육비 지원사업(학비·급식비·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 등)
국가장학금
평생교육이용권
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사업
우수고등학생 해외유학 장학금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
기준중위소득 100%와 맞춤형 복지
국가보훈부 (5개)
국가유공자 생활조정수당
참전유공자 생계지원금
독립유공자 손·자녀 생활지원금
(보훈대상자) 요양지원
제대군인 무료법률 구조 지원
국토교통부 (3개)
(기초생활) 주거급여
행복주택 공급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
농림축산식품부 (2개)
학교우유급식
농식품바우처
산림청 (2개)
산림복지서비스 이용권
산림일자리(숲가꾸기·산림재해일자리·산림서비스도우미)
기준중위소득 100%와 맞춤형 복지
문화체육관광부 (3개)
예술활동준비금 지원
통합문화이용권
스포츠강좌이용권
법무부 (1개)
법률 구조 제도
보건복지부 (33개, 대표적 사업)
(기초생활) 생계급여
해산·장제급여
긴급복지
장애수당(기초·차상위)
(기초생활) 의료급여
장애인연금
재난적 의료비 지원
자활근로
희망저축계좌(Ⅰ·Ⅱ), 청년내일저축계좌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암환자 의료비 지원 (이외 다수 사업 포함)
질병관리청 (2개)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
결핵환자 부양가족 생활보호비 지원
여성가족부 (14개)
위기청소년 특별지원
청소년한부모 자립지원
한부모가족아동 양육비 지원
아이돌봄 서비스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바우처 지원 (기타 청소년·다문화가족 지원 사업 포함)
통일부 (1개)
북한이탈주민 의료비 지원
금융위원회 (1개)
청년도약계좌
산업통상자원부 (3개)
에너지바우처
고효율조명기기 무상교체
저소득층 에너지효율 개선
기준중위소득 100%와 맞춤형 복지
마무리
2026년 기준중위소득 인상으로 복지 수급 문턱이 낮아져 더 많은 국민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는 주거·고용·금융·교육·문화 등 전방위 지원을 받을 수 있으니, 본인의 가구 소득을 확인하고 맞춤형 복지사업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